고령의 치매 환자일수록 코로나19 감염에 취약

  • 등록 2020.07.13 13:23:20
크게보기

-치매 증상 노인, 코로나19 예방에 더욱 신경써야

고령의 치매 환자가 일반 노인 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치매가 초기에서 경증, 중증으로 진행될수록 코로나19에 걸릴 위험이 컸다.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이라면 코로나19 예방에 더욱 신경써야 함을 시사한다.


한국뇌연구원 주재열, 임기환 박사 연구팀은 고령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ACE2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침투할 때 이용하는 수용체다. 코로나1970대 이상 고령자에서 높은 치명률을 보이고 폐렴, 당뇨병 등 기저질환(지병)을 가진 경우 상대적으로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팀은 노년층에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기저질환인 치매와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뇌질환 관점에서 접근했다.

70세 이상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환자의 뇌조직 및 혈액의 유전체 정보가 담긴 빅데이터와 전사체 분석기법(RNA 시퀀싱)을 활용해 ACE2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반 노년층 보다 알츠하이머 치매를 앓는 노년층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ACE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알츠하이머병 모델 쥐의 뇌조직에서도 같은 변화를 확인했다.


또 치매 초기, 경증, 중증 환자 그룹의 유전체 분석결과 치매가 진행될수록 ACE2 유전자 발현이 점진적으로 증가(각각 135%, 148%, 154%)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2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해 세포 내 침입을 도우므로 ACE2가 많이 발현될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연구팀은 아울러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세포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분석한 결과 ACE2 유전자 발현은 경증 환자에서는 변화가 없었지만 중증 환자 혈액에서는 약 31% 감소됨을 확인했다. 이는 ACE2 유전자 발현이 뇌에 집중돼 있다는 반증이라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주재열 박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해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수용체인 ACE2의 유전자 발현이 노년층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게서 증가되는 연구에 대한 보고는 현재까지 없다면서 이번 결과는 퇴행성 뇌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진 노년층에 대한 새로운 진단 접근법과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감염병 저널(Journal of Infect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한편 연구팀은 올해 초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유전자(Ube2h)를 발견한 바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 진단이나 코로나19 예방과 관련한 다각적 접근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Today news/정길도 취재부장


정길도 취재부장 기자 jkd8180@naver.com
투데이전남. 투데이전남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영상은 무단사용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자등록번호 : 415-81-23669 / 투데이전남 : 등록번호 : 전남 다-00100(1998.9.28) /www.presstoday.kr / (유)투데이전남. 투데이전남방송 / 발행인 겸 대표이사 이인규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영랑로 15-1, 2층 /전화 061)434-6661 /팩스 061)434-6662 /이메일 news3330@naver.com 투데이전남. 투데이전남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기사 및 사진영상은 무단사용복사, 배포시 저작권법에 저해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