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5.0℃
  • 구름조금강릉 12.0℃
  • 박무서울 7.0℃
  • 박무대전 5.4℃
  • 맑음대구 6.8℃
  • 맑음울산 8.4℃
  • 맑음광주 6.6℃
  • 맑음부산 10.6℃
  • 맑음고창 5.2℃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6.5℃
  • 맑음보은 2.5℃
  • 맑음금산 2.6℃
  • 맑음강진군 4.8℃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종합

추미애 장관 후보자 1월 2일 임명될 듯

-文정부...새해 초부터 검찰개혁 박차 가하려는 의지 표시

[투데이전남=정길도 취재부장]추미애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새해 1월 2일 임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31일 오전 인사청문회법 제 6조 등에 따라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1월 1일까지 송부해줄 것을 국회에 다시 요청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재송부 요청기간을 이렇게 짧게 잡은 것은 새해 초부터 검찰개혁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지난 11일 추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요청안을 국회에 보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인사청문요청안 제출 뒤 20일 이내에 인사청문회 및 보고서 채택 등 모든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지난 30일까지가 기한이었지만 국회는 인사청문 경과 보고서를 채택하지 못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이 경우 대통령은 10일 이내 범위에서 기간을 정해서 보고서 재송부 요청을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틀만 시간을 더 주며 재송부 회신 기한을 1월 1일로 설정한 것이다. 월 1일이 휴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하루만 시간을 준 셈이다. 국회가 이 요청에도 응하지 않으면 대통령은 장관을 임명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생긴다. 현재 국회는 극심한 여야 대치 국면에 있기 때문에 더 기간을 줄 필요가 없다고 보고 짧게 기한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재인정부 들어 가장 짧은 송부 기한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미선·문형배 헌법재판관, 김현준 국세청장 임명시에 각각 3일을 준 것이 가장 짧았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경우 4일을 재송부 기한으로 설정했었다.


1월 1일까지 채택이 될 가능성이 없는 상태다. 1새해 첫 근무일은 1월 2일 추 후보자를 임명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초단기로 재송부 기한을 설정한 것 자체가 검찰 개혁을 강공으로 밀어붙이겠다는 정치적 의사 표시로 보인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안이 지난 30일 국회를 통과한 상태에서 추 후보자를 바로 장관으로 임명해야 검찰개혁에 강한 추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Today news/정길도 취재부장





의정

더보기

LIFE

더보기
이재명 당 대표 출마 공식선언“일부 검사들, 국회 겁박 하는 것은 내란 시도 행위”, 탄핵 당위성 강조, 출마 회견서 직격 [today news 취재본부장 강향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가 10일 오전11시 연임에 도전하는 출마를 선언을 했다. 다음은 출마 선언 전문. 국민 옆에 이재명, 다시 뛰는 대한민국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사랑하는 당원동지 여러분! 어제보다는 오늘이, 오늘보다는 내일이 더 나을 거란 희망은 이제 과거의 유물이 되었습니다. 혁신 역량은 고갈되고 저성장의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불평등과 양극화는 갈수록 극단화되고 있습니다. 상상하기 힘든 비극적 사건·사고들이 끊이지 않고, 먹고 사는 일에 온 신경을 기울여야 할 정도로 민생경제가 파탄 났는데, 그 누구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습니다. 심야배송을 하던 택배기사는"개같이 뛰고 있어요"라는 카톡을 남기고 과로로 숨졌습니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나라이며 무엇을 위한 사회입니까. 이렇게 살 수는 없습니다. 절망의 오늘을 희망의 내일로 바꿀 수만 있다면 제가 가진 무엇이라도 다 내던질 수 있습니다. 저 이재명이 이 자리에 선 이유입니다. 국민 여러분, 그리고 당원동지 여러분. 지난 주 영국은 14년 만의 정권교체가 있었고, 프랑스도 집권여당을 누르고 좌파연대가 총선에서 승리했습니다. 국민들이 진보냐 보수냐를 선택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