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4.4℃
  • 구름조금강릉 11.0℃
  • 박무서울 6.5℃
  • 박무대전 5.1℃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7.2℃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9.8℃
  • 맑음고창 4.7℃
  • 맑음제주 17.2℃
  • 구름많음강화 5.2℃
  • 맑음보은 1.8℃
  • 맑음금산 1.8℃
  • 맑음강진군 4.2℃
  • 맑음경주시 6.4℃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문화

5·18 40주기 앞두고 관련영화 23편 상영

-광주독립영화관 7일~10일 상영
-영화 연출 감독과 대화의 시간도 펼쳐

                     

[투데이전남=홍주연 기자]5·18민주화운동 40주기를 앞두고 항쟁의 진실을 조명한 영화 23편이 잇따라 상영된다.


광주독립영화관은 5·18 40주기를 기념해 광주민중항쟁의 진실과 의미가 담겨 있는 독립영화를 7일부터 10일까지 상영한다고 1일 밝혔다.


총 23편으로 구성된 특별전은 광주민중항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던 배경과 전개과정 등을 영화로 소개한다.


정기평 감독의 '1979 부마의 기억'(2019년)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독재 체제에 저항해 1979년 10월 16일부터 닷새간 부산과 마산(현 창원시)에서 일어난 '부마민주항쟁'을 조명하고 있다.


또 이미영 감독의 '먼지, 사북을 묻다'(2002년)는 광주 항쟁 한 달 전, 강원도 정선군 사북 탄광에서 일어난 '사북민주항쟁'을 그리고 있다.


'사북민주항쟁'은 1980년 4월21일부터 24일까지 동원탄좌 사북광업소 광부와 가족들 6000여명이 회사 측의 착취와 어용노조에 반발해 일으킨 노동항쟁이다.


이어 '레드브릭'(1998년)과 '광주항쟁의 유산'(2010년)을 통해 당시 5·18의 참상을 전한다.항쟁 당시 시민군 홍보부장이자 극단 토박이를 창단했던 박효선(1998년 작고)감독이 연출한 '레드브릭'은 5·18당시에 고문으로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주인공이, 누군가가 자신을 감시하고 미행하는 망상에 사로잡히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신은정 감독이 연출한 '광주항쟁의 유산'은 외국인들에게 5·18을 알리기 위해 영어로 내레이션 됐다.또 이번 특별전을 통해 박성배 감독의 '오월영화' 세 작품이 상영된다.


'망월동행 25-2'(2000년)는 망월동으로 향하는 25-2번 시내버스에 승차한 시민들의 모습과 박성배감독이 찍은 사진을 교차시키는 작품이며,  '오월을, 찾다'(2010년)는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무명열사 11기의 유골 발굴 작업을 기록한 작품이다.


'실종'(2009년)은 행방불명가족의 5·18관련자 인정 신청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이밖에도 특별전에서는 이지상 감독의 '광주전투', 이주형 감독의 '포크레인' 장영주 감독의 5·18 힌츠페터 스토리' 등을 상영한다.행사가 열리는 동안에는 영화를 연출한 감독과 대화의 시간도 펼쳐진다.

 

Today news/홍주연 문화부장





의정

더보기

LIFE

더보기
이재명 당 대표 출마 공식선언“일부 검사들, 국회 겁박 하는 것은 내란 시도 행위”, 탄핵 당위성 강조, 출마 회견서 직격 [today news 취재본부장 강향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가 10일 오전11시 연임에 도전하는 출마를 선언을 했다. 다음은 출마 선언 전문. 국민 옆에 이재명, 다시 뛰는 대한민국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사랑하는 당원동지 여러분! 어제보다는 오늘이, 오늘보다는 내일이 더 나을 거란 희망은 이제 과거의 유물이 되었습니다. 혁신 역량은 고갈되고 저성장의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불평등과 양극화는 갈수록 극단화되고 있습니다. 상상하기 힘든 비극적 사건·사고들이 끊이지 않고, 먹고 사는 일에 온 신경을 기울여야 할 정도로 민생경제가 파탄 났는데, 그 누구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습니다. 심야배송을 하던 택배기사는"개같이 뛰고 있어요"라는 카톡을 남기고 과로로 숨졌습니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나라이며 무엇을 위한 사회입니까. 이렇게 살 수는 없습니다. 절망의 오늘을 희망의 내일로 바꿀 수만 있다면 제가 가진 무엇이라도 다 내던질 수 있습니다. 저 이재명이 이 자리에 선 이유입니다. 국민 여러분, 그리고 당원동지 여러분. 지난 주 영국은 14년 만의 정권교체가 있었고, 프랑스도 집권여당을 누르고 좌파연대가 총선에서 승리했습니다. 국민들이 진보냐 보수냐를 선택한 것이